※ EPP bead foam
1. PP를 원료로 하고, EPS처럼 스팀을 이용해서 3차원 성형하고 15~30배 수준까지 고배율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소재.
2. 최고의 탄성특성으로, 자동차 및 다양한 산업용 충격흡수재로 사용 중.
※ EPP 비드 제조사 및 시장동향
1. 해외는 JSP, BASF, KANEKA 등이 주요 생산업체이며, 국내는 한화첨단소재, 롯데케미칼, 애경코스파 등이 생산 중임.
2. EPP 가격이 높아서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다가 , 탁월한 물성으로 점차 EPS 시장을 잠식 중.
3. EPP bead 가격 : 톤당 400~450 만원 (발포된 비드를 운반해야 하므로 운송비 큼)
4. EPP 스팀 성형된 부품 가격 : 톤당 750 ~ 900만원
5. EPP 가격이 높은 이유 : batch 발포 방식으로 생산성이 낮고, 전체 원료가 사전 컴파운딩 필수
PP 압출발포기술로 EPP 비드를 제조하면 단일공정으로 제조 가능함.
※ EPP bead 연속 압출 기술의 핵심
95% 이상의 높은 독립기포율의 발포 비드
▶압출설비 screw 설계가 핵심
▶비드 압출 다이 설계 기술
▶온도 제어 설계 기술
▶PP 원료 처방 기술
▶Bead 접착력 극대화를 위한 기능성 첨가제 처방 기술
연속 압출 발포만이 EPP가 EPS와 단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임.
(탄성과 충격 흡수성은 EPP가 EPS보다 비교가 안될 정도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)